Certificate/정보처리기사

[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]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- 152. ⭐ 기억장치 관리의 개요

S_sun 2025. 11. 20. 09:52

 

  • 계층 구조에서 상위의 기억장치일수록 접근 속도와 접근 시간이 빠르지만, 기억 용량이 적고 고가
  • 주기억장치는 각기 자신의 주소를 갖는 워드 또는 바이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, 주소를 이용해 액세스 함
  • 레지스터, 캐시 기억장치, 주기억장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CPU가 직접 액세스 가능하나,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직접 엑세스 불가
  •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는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CPU에 의해 액세스 됨

1. ⭐ 기억장치 관리 전략의 개요

1) 반입 (Fetch) 전략

  • 보조기억장치에 보관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언제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것인지 결정하는 전략
  • 요구 반입(Demand Fetch) :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특정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의 참조를 요구할 때 적재
  • 예상 반입(Anticipatory Fetch) :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미리 예상하여 적재

2) 배치 (Placement) 전략

  • 새로 반입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의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 결정하는 전략
  • 최초 적합(First Fit) : 빈 영역 중에서 첫 번째 분할 영역에 배치시키는 방법
  • 최적 적합(Best Fit) : 빈 영역 중에서 단편화를 가장 작게 남기는 분할 영역에 배치시키는 방법
  • 최악 적합(Worst Fit) : 빈 영역 중에서 단편화를 가장 많이 남기는 분할 영역에 배치시키는 방법

3) 교체 (Replacement) 전략

  • 주기억장치의 모든 영역이 이미 사용중인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배치하려고 할 때, 이미 사용되고 있는 영역 중에서 어느 영역을 교체하여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전략
  • FIFO, OPT, LRU, LFU, NUR, SCR 등

 

 

 

📖 Reference
 

2023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: 네이버 도서

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.

search.shopping.naver.com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