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데이터가 저장될 공간을 정의하는 것
- 테이블에 저장할 데이터양과 인덱스, 클러스터 등 차지하는 공간 등을 예측하여 반영
1. 데이터베이스 용량 설계 목적
- 디스크의 저장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확장성 및 가용성을 높임
- 디스크의 입 · 출력 부하를 분산시키고 채널의 병목 현상을 최소화 함
- 데이터 접근성 향상
- 테이블의 테이블스페이스와 인덱스의 테이블스페이스를 분리하여 구성
- 테입블스페이스와 임시 테이블스페이스를 분리하여 구성
- 테이블을 마스터 테이블과 트랜잭션 테이블로 분류
- 오브젝트 익스텐트 발생을 최소화하여 성능 향상
- 익스텐트(Extent) : 기본적인 용량이 모두 찼을 경우 추가적으로 할당되는 공간
- 테이블과 인덱스에 적합한 저장 옵션을 지정
2. 데이터베이스 용량 분석 절차
① 데이터 예상 건수, 로우 길이, 보존 기간, 증가율 등 기초 자료를 수집하여 용량 분석
②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DBMS에 이용될 테이블, 인덱스 등 오브젝트별 용량 산정
③ 테이블과 인덱스의 테이블스페이스 용량 산정
- 테이블스페이스 용량은 테이블스페이스에 생성되는 테이블 용량을 모두 더한 값에 약 40% 정도를 추가하여 산정
④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모든 데이터 용량과 데이터베이스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용량을 합해 디스크 용량 산정
📖 Reference
2023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: 네이버 도서
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.
search.shopping.naver.com
728x90
반응형
'Certificate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]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- 100.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/ 서버 클러스터링 (0) | 2025.11.18 |
|---|---|
| [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]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- 099. ⭐ 분산 데이터베이스 설계 (0) | 2025.11.18 |
| [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]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- 097. ⭐ 파티션 (Partition) 설계 (1) | 2025.11.18 |
| [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]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- 096. 클러스터 (Cluster) 설계 (0) | 2025.11.18 |
| [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]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- 095. ⭐ 뷰 (View) 설계 (0) | 2025.1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