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기술
1. ⭐ DAS (Direct Attached Storage)
- 서버와 저장장치를 전용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
- 일반 가정에서 컴퓨터에 외장하드를 연결하는 것
- 서버에서 저장장치를 관리
- 저장장치를 직접 연결하므로 속도가 빠르고 설치 및 운영 쉬움
- 초기 구축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 저렴
- 직접 연결 방식이므로 다른 서버에서 접근불가
- 파일 공유 불가
- 확장성 및 유연성이 떨어짐
- 저장데이터가 적고 공유가 필요 없는 환경에 적합

💡 서버에 스토리지가 직접 연결되어 있어 속도는 빠르나 다른 서버에서 스토리지에 접근하여 사용 불가
2. ⭐ NAS (Network Attached Storage)
- 서버와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
- 별도의 파일 관리 기능이 있는 NAS Storage가 내장된 저장장치를 직접 관리
- Ethernet 스위치를 통해 다른 서버에서도 스포리지에 접근할 수 있어 파일 고유가 가능
-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장장치에 쉽게 접근
- DAS에 비해 확장성 및 유연성 우수
- 접속 증가 시 성능이 저하

💡 파일 관리 기능이 있는 NAS Storage가 네트워크 상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서버들이 자유롭게 스토리지에 접근하여 파일 공유 가능
3. ⭐ SAN (Storage Area Network)
- DAS의 빠른 처리와 NAS의 파일 공유 장점을 혼합한 방식
-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성하는 방식
- 광 채널(FC) 스위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구성
- 컴퓨터 장치 간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기가바이트로 높이기 위한 네트워크 기술
- 광 채널 스위치는 서버나 저장장치를 광케이블로 연결하므로 처리 속도가 빠름
- 저장장치를 공유함으로써 여러 개의 저장장치나 백업 장비를 단일화
- 확작성, 유연성, 가용성 뛰어남
- 높은 트랜잭션 처리에 효과적이나 기존 시스템의 경우 장비의 업그레이드 필요
- 초기 설치 시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하므로 비용이 많이 듬

💡 서버와 스토리지가 광 채널 스위치로 연결된 별도의 전용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, 서버들이 저장장치 및 파일을 자유롭게 공유
📖 Reference
2023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: 네이버 도서
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.
search.shopping.naver.com
728x90
반응형
'Certificate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]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- 106. 물리 데이터 모델 품질 검토 (0) | 2025.11.19 |
|---|---|
| [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]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- 105. 논리 데이터 모델의 물리 데이터 모델 변환 (0) | 2025.11.19 |
| [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]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- 103. 데이터베이스 백업 (0) | 2025.11.19 |
| [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]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- 102. ⭐ 데이터베이스 보안 - 접근 통제 (0) | 2025.11.18 |
| [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]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- 101. ⭐ 데이터베이스 보안 / 암호화 (0) | 2025.11.18 |